100원으로 한 달 살기? 국민 알뜰폰 요금제 리얼 후기 (모요 vs 알뜰폰허브)
지금 쓰고 있는 요금제로는 데이터를 1G밖에 쓸 수 없어서
데이터를 더 많이 쓸 수 있는 요금제를 알아보게 되었어요.
과거에 알뜰폰 0원 요금제로 수년 동안 혜택을 누린 경험이 있어서
이번에도 자연스럽게 알뜰폰 요금제를 알아보았습니다.
예전에는 무제한 0원 요금제도 있었는데...
지금은?
기억하시는 분도 있을 거에요.
과거에 알뜰폰 요금제 중에 0원으로 데이터를 무제한에 가깝게 쓸 수 있는 요금제가 있었는데요.
자취를 감추어버린 지 오래되었죠.
오랜만에 한 번 들어와 봤는데 거의 0원에 가까운 요금제가 눈에 띄더라고요.
1. 요금제 비교 사이트 실전 사용기 (모요 vs 알뜰폰허브)
모요 | 알뜰폰허브 | |
운영 주체 | 스타트업 '모두의 요금제'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
제공 플랫폼 | 웹사이트, 안드로이드 및 iOS앱 | 웹사이트 중심 |
모요는 알뜰폰 가격비교 사이트로 제가 자주 사용하는 곳이에요.
오랜 시간 유용하게 써와서 이번에도 들어가 봤어요.
여기가 생기고 나서 비슷한 가격 비교 사이트들이 많이 생겼는데
지금은 모요만 살아남았어요.
모요 하나면 웬만한 알뜰폰 요금제는 다 커버되더라고요.
모요 말고 알뜰폰 허브라는 곳도 있어요.
둘 다 써보니까 알뜰폰 허브는 모요에 비해서 살짝 아쉬워요.
시각적으로는 직관적인 UI를 써서 편하기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검색 결과는 오히려 모요가 더 다양했어요.
월 5G / 통화 350분에
무려 월 110원!
모요를 통해 거의 0원에 가까운 요금제를 찾았어요.
예를 들어 같은 100원 요금제라고 해도
통신사별로 유심비가 다를 수 있으니까 잘 확인하셔야 해요.
유심비 무료는 이제 거의 찾아보기 힘들고요.
2,200원이나 5,500원이 대부분이에요.
번호이동 수수료도 800원이 추가될 수 있으니까 확인하는 게 좋아요.
2. 내가 선택한 알뜰폰 요금제는?
제 선택은 프리티였어요. 사실 이번이 두번째에요.
프리티는 써보니까 아이폰 안드로이드 전용 어플이 있어서
사용하기가 편하더라고요.
위젯도 있어서 데이터 사용량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편했어요.
제 경우에는 기존에 쓰던 요금제가 아직 3개월이 지나지 않아서
3개월 제한 기간 이내 번호이동 신청서를 써야 했어요.
신청 절차는 어렵지 않은데 좀 귀찮아요.
정해진 양식을 다운받고 작성하고
이메일로 보내주면 됩니다.
답장은 정말 빨리 오는 편이에요.
문제가 있으면 뭐가 문제가 있다고 알려주더라고요.
보통 약정이 끝날 때 즈음해서 다른 요금제로 옮겨타고는 했거든요.
몇 년을 그렇게 하다보니까 귀찮아서 그냥 하나에 정착하게 되었지만
이번에 조건이 매력적이어서 다시 100원 요금제로 갈아타게 되었어요.
알뜰폰 요금제는 계속해서 이벤트성 요금제가 나오니까요.
한 번씩 들여다보면 나와 맞는 최적의 요금제를 발견할 수 있을 거에요.
댓글